오늘 알아볼 지식은 상속에 대한 내용이다. C#에서는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의 자식이 되어 부모 클래스의 변수나 메소드를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기능이 존재한다. 같은 성질을 갖거나 목적을 갖는 클래스를 묶기에 유용한 기능으로, 아래의 내용이 상속에 대한 내용이다. 대중적으로 프로그래머들이나 툴을 개발한 개발자들은 코드가 중복되는 것을 매우 싫어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코드를 선호한다. 이 상속을 이용하면, 중복을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유지/보수까지 유용하게 개발할 수 있다. 여기서 override라는 내용이 나오는데, 부모 클래스에게서 상속받은 메소드를 수정하거나 보다 기능을 더 확장시킬 수도 있는 확장성까지 지닌 모습을 알 수 있다. 먼저, 간단히 상속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히 작성한 코드를 보자.u..

강의를 들으며 첫 과제인 것 같다. 간단히 UI와 스크립트를 구성하여 가위바위보 게임을 만드는 과제이다. 시작 화면에서 게임의 횟수를 입력하고 start 버튼을 누르면, 게임 화면으로 넘어와 양쪽에서 가위바위보 이미지가 번갈아 바뀌고, 판정 버튼을 누르면 이미지가 랜덤하게 바뀐 후 승패를 판정한다. 이후 정해진 라운드가 끝나면 양 유저의 승리 카운트를 합산하여 마지막 화면에서 승리 유저를 알려준다. 매우 간단한 게임은 아니지만, 지금 내 수준으로는 가능한 게임인 것 같았다. 일단 게임 화면 작업을 우선으로 해주었다. 간단한 UI와 2D라는 특성을 생각해보니, Panel UI가 떠올랐다. 기본적으로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Text Object, 게임 횟수를 입력하기 위한 IndexField Object, ..
C#을 공부해본 사람이라면 아마 생성자라는 단어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생성자란, 객체를 생성할 시에 객체의 속성들을 간단히 초기화할 수 있게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따로 반환형은 표시하지 않고, 클래스의 이름과 같게 선언되기 때문에 객체를 선언할 때 함께 호출된다. 따라서 인위적으로 호출을 할 수 없다. 또한, 오버로딩이라 하는 기능을 허용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사용 방법은 아래와 같다. # 생성자 사용을 하지 않고 객체를 초기화 할 경우 클래스명 object = new 클래스명() object.초기화메소드(초기화 인수 ...); # 생성자 사용해 객체를 초기화 할 경우 클래스명 object = new 클래스명(초기화 인수 ...); 사용법이 많이 어렵지 않다. 실제 개발에서 예를 들어 사..
우리는 보통 C언어를 학습하게 되고, 이후 심화적으로 특정 툴을 사용하기 위해 C#이나 C++ 언어를 배우기도 한다. C언어에서 자주 쓰던 함수라는 개념이 C#에서는 메소드 개념으로 바뀌었다. C#은 JAVA라는 획기적인 언어를 대적하기 위해 등장하였던 언어이기 때문에, C의 기반보단 JAVA의 기반을 더 많이 따라간 모습을 볼 수 있다. 메소드란, 클래스의 멤버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작, 연산, 제어 등의 실질적인 코드를 동작시키고 구성하기 위한 문법이라는 정의를 가지고 있다. C언어에서 함수를 다루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C#에서 메소드를 다룰 때도 여러 경우의 수와 고민을 하여야 한다. 이 메소드를 이용하여 구현하려는 기능이 어떤 클래스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지, Caller와 Receiver를 어디..
우리는 보통 프로그래밍을 할 때, 배열을 일정 크기만큼 생성하면 곧이 곧대로 그 배열의 크기만큼 메모리도 사용하는 줄 알게 된다. 예를 들면, using System.Collections;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UnityEngine; public class ArrayComponent : MonoBehaviour { void Start() { int[] values = new int[5]; } } 이렇게 작성하게 되면 int의 크기인 4Bytes가 5개 생성이 되는 줄 아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 하지만 이는 약간의 오류가 있다. 배열이라고 한다면, 배열은 그대로 크기만큼 메모리를 차지하는 것이 아니라, values라는 값은 참조 변수까지 생성하게 된다..
1월 29일 강의에서는 간단하게 조건문에 대해 지식을 바로잡았다. 금일 강의부터 강의 내용을 기록하는 이유는, 저번주 강의 시간에서는 너무나 간단하게 자료형이나 유니티에 대해 다루었기 때문에 기존에 알던 지식을 굳이 기록할 필요를 느끼지 않았다. 하지만 금일 강의에서는 새롭게 알게 된 내용이 많아 기록을 결심하게 되었다. 크게 if문, switch문, enum에 대해 배웠고, 기존 대학에서 C언어를 거의 마스터했기 때문에 간단하게 이해할 수 있었다. 하지만 내부에서 새롭게 알게 된 용법도 몇 가지 있었다. 그에 대해 기록해두려 한다. if문 용법 : 1. if .. else ..문 : 서로 상반 관계일 때 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캐릭터가 죽거나 살아있는 경우를 다룰 때이다. using System...

1월 26일 금요일 강의에서 흥미로운 주제에 대한 강의를 들었다. 바로 애플에서 진행중인 공간 컴퓨팅에 대한 이야기이다. 먼저 본인은 유니티 개발자 교육을 듣고 있고, 미래에는 유니티 개발자 직종을 희망한다. 당연히 유니티로 개발이 가능한 메타버스나 VR, MR, AR 이야기가 나오면 흥미롭게 귀를 기울이곤 한다. 먼저 '공간 컴퓨팅'이라는 것은 애플에서 '메타버스'라는 그래도 유행이 지났다고 다들 말하는 용어를 새로 정의한 단어이다. 공간 컴퓨팅이라는 단어가 제시되기 전까지는 본인은 메타버스에 강한 흥미가 있었다. 유니티로 만들 수 있는 것은 게임 뿐만이 아니라 메타버스도 가능했기 때문에, 더욱 사람들이 열광하고 흥미롭게 즐길 수 있는 메타버스 컨텐츠를 만들고 싶었다. 하지만 이 메타버스라는 단어가 악..

처음으로 블로그에 글을 작성하다 보니 뭐부터 작성해야 할지 모르겠다.. 우선 본인은 평범하게 컴퓨터 공학 관련 전공인 정보보호학과를 수료하였고, 현재는 그냥 졸업을 앞둔 평범한 취업준비생이다. 원래 블로그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생각이었으나, 졸업을 앞두고 취업을 준비하면서 생각이 많아지게 되었고 주변에서 획득한 정보들을 정리할 수단을 생각하다가 블로그를 해보게 되었다. 본인이 중학교 때, 소지섭 배우 주연의 '유령'이라는 드라마를 보게 되었다. 그 때 까지는 컴퓨터를 오로지 인터넷 강의, 정보 탐색, 게임과 같은 용도로 사용하던 본인에게 해킹과 방어, 보안은 신세계로 다가오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화이트 해커의 꿈을 키우게 되었다. 그렇게 꿈을 갖고 2018년 정보보호학과에 진학한 본인은, 예상했던 벽에 부딪..
- Total
- Today
- Yesterday
- 익숙한출발
- 정보보호전문가
- 업캐스팅
- override
- 핸디커뮤니케이션즈
- 보안
- 게임개발
- 부모클래스
- apstndp
- SpaceShooter
- 코루틴
- 상속
- unity
- 침해사고분석및대응
- base
- 정보보안
- 메타버스
- Abstract
- 가위바위보게임
- OOP
- virtual
- 유니티개발
- 디폴트매개변수
- 정보보호
- 자식클래스
- 게임리뷰
- 물데네전세표응
- C#
- 유니티
- sbs아카데미게임학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